티스토리 뷰
목차
보수총액신고는 지난해(2024년) 근로자에게 지급한 보수 총액을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근로복지공단에 신고하는 절차입니다. 이를 통해 고용보험료와 산재보험료를 정확히 정산하고, 2025년도 보험료율을 적용하는 기준이 됩니다.
1. 보수총액신고 개요
- 신고 대상: 2024년 기준 고용·산재보험 가입 사업장
- 신고 기한: 2025년 1월 15일(월) ~ 3월 17일(일)
- 신고 방법: 온라인, 서면, ERP 연계 방식
보수총액신고를 하지 않으면 가산세 및 행정처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, 기한 내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.
2. 보수총액신고 방법
보수총액신고는 크게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- 온라인 신고 (가장 추천!)
- 서면(팩스·우편·방문) 신고
- ERP(회계 시스템) 연계 신고
3. 온라인 신고 (가장 추천!)
가장 간편한 방법으로, 공단 홈페이지에서 직접 입력하여 제출할 수 있습니다.
1) 고용·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이용 방법
- 1단계: 사이트 접속 및 로그인
- 2단계: 보수총액신고 메뉴 선택
- 3단계: 사업장 정보 입력
- 4단계: 근로자별 보수총액 입력
- 5단계: 신고서 제출 및 확인
4. 서면(팩스·우편·방문) 신고
공단에서 제공하는 신고 서식을 작성하여 팩스, 우편 또는 방문 제출할 수 있습니다.
1) 서면 신고 절차
- 보수총액신고서 다운로드 및 작성
- 사업장 정보, 근로자별 보수 총액 기재
- 팩스, 우편 또는 직접 방문 제출
- 접수 확인 전화 필수!
5. ERP (회계 시스템) 연계 신고
ERP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업의 경우 회계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자동 신고할 수 있습니다.
1) ERP 연계 신고 절차
- ERP 프로그램 접속 후 보수총액신고 메뉴 선택
- 근로자별 보수총액 자동 입력 및 검토
- 신고서 자동 생성 및 온라인 전송
- 정상 제출 여부 확인
6. 신고 시 주의해야 할 사항
보수총액신고 시 누락 및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아래 사항을 꼭 확인하세요!
- 신고 대상 근로자 정확히 입력
- 기본급, 수당, 상여금 포함 여부 확인
- 신고 후 접수 완료 확인 필수!
- 가산세 부과 방지를 위해 기한 내 신고
7. 마무리
보수총액신고는 사업장의 고용·산재보험료를 정확히 정산하는 필수 절차입니다.
- 2025년 신고 기한: 3월 17일까지
- 가장 편리한 방법: 온라인 신고
- 신고 후 접수 여부 반드시 확인!
바쁜 업무 속에서도 미리 준비하여 원활하게 신고를 마치세요!